건국대학교 자료구조 강의 정리, 요약
- 컴퓨터에서 “바로” 할 수 있는 일과 못하는 일을 구분해야함.
CPU ↔ Memory
- 그림 요약
- 컴퓨터가 계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간략히 소개
- 변수와 계산 과정에 대한 정보가 Memory에 할당
- 1에서 수행한 것들은 모두 주소 정보가 존재하고 CPU와의 상호과정에서 Bus(전선)이 이 둘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
- 왜 주소 정보를 가지나?
- == Memory에서 특정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하기 때문.
- 과정
- 1) IP에서 명령이 담겨있는 2016번지 주소를 인지
- 2) 2016이 Add(ress) 버스에 올라감
- 3) 2016로 가서 37을 Data 버스를 통해 불러옴
- 4) CPU가 37이 무슨 뜻인지 해석을 해서 그 작업을 실제로 진행
- 5) Add 버스에 2016번지에 있는 900이 뜨게 됨
- 6) 2037이 Data 버스를 통해 register에 저장 (+950도 떠서 3164 저장)
- 7) ALU에 의해 덧셈이 진행된 후 5201이 register에 저장
- 8) Add에 720 뜨고, Data를 통해 5201이 720번지에 저장됨.
- 컴퓨터가 계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간략히 소개
- IP : Instruction Pointer
// Pointer Example
int a;
int *p;
int **q;
p=&a;
q=&p;
**q = 50;
Pointer
- Type이 주소인 변수
- 저장하는 값을 주소로 해석하기로 약속한 변수
- 그 주소에 “가면” 어떤 type의 변수가 있는 지를 추가로 표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