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3 반복문 for문 for index in 1...5 { // let index = 1 ... let index = 4, let index = 5 print("\(index)") print("\(index * 5) 는 index에 5를 곱한 것") } // 1 2 3 4 5 많이 사용되는 방식 var number = 10 for i in 1...number { print(i) } 💡 와일드 카드 패턴 _(언더바)은 Swift에서 생략의 의미 // Example for _ in 0...10 { print("hello") } let _ = "문자열" let a = (1...10).reversed() print(a) // 10, 9, 8 ... 1까지 한줄씩 출력 배열 등 컬렉션 타입에서도 사용 가능 ..
전체 글
- 2000.08.01 - KU CSE 20Day 2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위주로 정리할 예정이다. (다른 언어에서 접해보지 못한 내용들) 나누기 연산자 정수끼리의 연산에서는 몫. Double(4/5) ≠ Double(4) / Double(5) 💡 연산자 타입 → 같은 타입의 데이터끼리만 연산 및 저장이 가능 Swift에서는 a++, ++a 와 같은 연산자(X) 연산자 우선순위 할당이 우선 젤 낮다는 정도로 알기 접근연산자 점문법/명시적 멤버 표현식 하위 개념으로 접근한다고 인지하기 접근연산자의 활용 Int.random(in: 1…10) 하위에 내부적으로 구현된 기능의 의미 1부터 100, 범위 내에서 글자 수 세기 name.count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리 순차 개발자가 정한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한 줄씩 실행한다. 조건 조건에 따라 어떤 동..
앨런 Swift문법 마스터 스쿨 (온라인 BootCamp - 2개월과정) 강의 - 인프런 위 강의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Section-3 컴퓨터의 기본 동작 원리 CPU ↔ RAM ↔ 하드디스크 하드디스크 → RAM : (실행시) 복사되어서 메모리에 올라감 CPU : RAM에 있던 거를 실행 프로세스 실행중인 프로그램 과정 코드는 평소 하드에 저장됨 프로그램을 실행 시 메모리(RAM)에 복사되어 올라감 CPU는 한번에 한가지 일처리만 가능 멀티쓰레드는 추후에 다룸 한줄씩 컴퓨터가 해석가능하도록 기계어로 변환되어 메모리에 올라감 CPU는 메모리에 있는 코드를 한줄씩 ‘차례대로’ 실행 메모리에는 실제 모든 공간에 주소가 붙어 있어 CPU에서 접근이 가능 메모리 구조 코드/데이터/힙/스택 세부사항 ..